
블로그 (25)
Paper Block - 이야기가 있는 공간


이미지 최적화: JPG를 써야 할까 PNG를 써야 할까?
블로그나 홈페이지를 만드는 데 있어서 이미지의 용량과 품질 사이에서의 균형은 은근히 중요합니다. 출판물, 인쇄물이 아닌, 웹상의 문서이므로 품질과 트래픽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. 이미지의 퀄리티가 너무 떨어지면 성의 없고 저렴해 보이는 문제가 있고, 쓸데없이 고퀄의 이미지를 사용하면 페이지 로드가 느려지고 page speed insight와 같은 웹페이지 속도 측정, 더 나아가서 SEO에 불리하게 작용합니다. 어쩌면 방문자가 들어와서 화면이 보이기도 전에 나가버릴지도 모르겠습니다. 이미지의 품질과 균형을 맞춘 최적화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고려해 볼 사항은 이미지의 '크기'와 '형식'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 중 이미지의 형식, 특히 대표적인 이미지 포맷 JPG(JPEG)와 PNG 중 어떤..
[티스토리] CCZ-CROSS 스킨 속도 향상을 위한 팁
본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CCZ-CROSS 스킨이 적용되어 있습니다. CCZ-CROSS 스킨은 깔끔하고 카테고리 분류가 잘 보이게 되어 있어서, 주로 IT 쪽 블로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그런데 스킨의 사용 후기를 보면, "로딩 타임이 느리다"라는 평가가 있기도 합니다.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도 많이 나와있고요. 이번 글에서는 검색과 소스 분석을 통해서 수집한 CCZ-CROSS 스킨의 속도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#1. CCZ-CROSS 스킨을 적용하다. 처음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한 후, 티스토리의 스킨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었습니다. 티스토리의 기본 스킨들도 나쁘지는 않은데, 현재 블로그가 IT · 웹 쪽이다 보니 약간 어울리지는 않는 것 같습..
티스토리 블로그에 리디바탕체를 적용하였습니다.
폰트를 변경하다. 우연히 지나다니다가 발견한 리디바탕체. 가독성이 좋아 보여서 현재의 티스토리 블로그에 바로 적용하였습니다. https://www.ridicorp.com/branding/fonts/ridibatang/ 고맙게도 무료로 제공된다고 하네요. 권장사항이기는 하지만 블로그 푸터에 출처를 표기하였습니다. #1. 약간 IT 하고는 안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지만... 뭔가 깔끔한 맛이 있고 책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변경하였습니다. #2. Ebook 스타일의 디자인으로 블로그로 운영해보고 싶었기 때문이죠. 콘텐츠 수와 내용은 아직 한참 모자랍니다만. 어쩌면 금방 포기할지도. 😅 #3. 섹션의 제목에 bold를 적용하면 약간 부담스러운 느낌입니다. 조금 과한 듯하여 제목 부분만 나눔 바른고딕을 적용..